인생과 삶 66

받는 노인과 주는 노인

[받는 노인과 주는 노인] 아름다운 노인은 베풀며 살기를 원(願)한다. 베풀기 위해서는 사랑과 배려와 물질이 있어야 한다. 궁핍하지 않은 생활의 여유와 사랑하고 배려하는 넓은 마음이다. 주고 싶고 베풀고 싶은 마음은 간절한데 줄 것이 없다면 마음만 아플 뿐이다. 삶을 마치는 순간까지 자기를 철저하게 사랑하며 노년의 존엄성을 지키고, 행복하려면 어떤 형태든 자기에게 맞는 노후준비가 필요하다. 노후 준비는 특별한 것이 아니다. 개미나 다람쥐가 추운겨울을 준비하듯 사람도 젊어서 수입이 있을 때 노후 준비를 하는 것이다. 정신건강도 몸의 건강도 건강할 때 자기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주는 노년을 원한다면 삶을 마치는 순간까지의 건강, 물질, 정신, 일거리, 행복을 유지하고 확보하는 슬기로운 노력이 필요하다. ..

인생과 삶 2023.05.12 (370)

다르게 늙는다

[다르게 늙는다] 사람이 다르듯이 늙는 것도 다르다. 각기 살아온 역사가 다른 것처럼 늙는 것도 각자 다르다. 품위를 지키며 보람차고 아름답게 늙는 사람이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행복하거나 불행한 노년이 되는 것은 일차적으로 자기의 책임이다. 결과가 다른 것은 원인과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결과에 불평하는 것은 비열한 자기모순이다. 살아온 역사가 다르기에 모든 노년이 즐거움과 행복을 같이 누릴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면 아름답고 행복하게 늙기 위한 남다른 노력을 소홀히 하지 않은 것은 지혜다. 모든 사람이 피(避)할 수 없는 것이 늙음이다. 품위를 지키며 곱고 행복하게 나이 드는 것은 차원 높은 아름다움이다. 시간은 예외를 허락하지 않고 정확한 결과를 제시한다. 지난 시간을 어떻게 살았느냐..

인생과 삶 2023.05.01 (311)

노인의 삶은 하나의 기적이다

[노년의 삶은 하나의 기적(奇蹟)이다] 많은 역경을 잘도 견디어내고 오늘 까지 살아있음이 기적(奇蹟)이다. 나이를 의식 하지 않고 삶을 즐기며 일 할 수 있다는 것은 역시 기적이다.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풍요로운 노년의 삶은 더욱 큰 기적이다. 넓은 마음으로 모두 용서 하고 싶고 사랑의 참 의미를 조금은 알 수있는 나이가 되도록 살아있음은 기적이다. 노년의 삶은 하나의 기적이다, 너그러운 마음으로 좋은 점을 보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밝은 면을 볼 수 있으니 기적이다. 마음에 들지 않은 일이 있어도 모르는 척 넘어가는 여유를 가질 수 있고, 없는 것에 마음 쓰기보다는 있는 것에 감사할 수 있으니 얼마나 큰 기적인가? 원망하고 미워하기보다는 사랑하고, 도와주고, 배려하고, 싶은마음으로 살 수 있음도 기적..

인생과 삶 2023.03.05 (288)

늙어서는 더 고운 마음으로 살기

[늙어서는 더 고운 마음으로 살기] 모든 노인이 고운 마음으로 사는 것은 축복입니다. 슬기롭고 고운 마음은 나이와 성별에 구별 없이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고운 마음을 가진 사람과 아닌 사람의 행복지수의 격차가 큼은 이미 알려져있는 사실입니다. 노년기는 삶의 완성으로 가는 가장 소중한 때입니다.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해 고운 마음으로 자신을 사랑하며 정(情)이 가득한 멋진 노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은 노인의 슬기이고 지혜입니다. 늙어서도 마음에 원망이나 미움, 시기, 질투, 분노가 있다면 현명하지 못합니다. 남이 잘되는 것은 보지 못하고 시기하고 저주하며 부정적인 마음이라면 행복한 삶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겉으로는 아는 듯 살지만 마음 깊은 곳에 미움과 질투, 원망, 시기같은 독소가 있다..

인생과 삶 2023.02.22 (331)

노인이 사랑하며 감사하고 즐겁게 살기

[노인(老人)이 사랑하며 감사(感謝)하고 즐겁게 살기] 어느 사람에게나 사랑하며 감사(感謝)하고 즐겁게 사는 것은 행복(幸福)이고 축복(祝福)입니다. 특히, 노인에게 주어진 황금(黃金)보다 귀한 시간을 사랑하며 감사한 마음으로 즐기면서 슬기롭게 살아간다는 것은 하늘의 진정(眞正)한 보살핌이고 은혜(恩惠)입니다. 노인의 시간(時間)은 하늘이 허락(許諾)한 축제(祝祭) 같은 소중(所重)한 시간입니다. 이 아름답고 귀하고 멋진 시간과 기회(機會)를 진정 사랑하고 감사하면서 살아야 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한다면 노인의 책임(責任)과 의무(義務)를 무시(無視)한 게으름과 미련(未練)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사람이라도 그러하지만 특별히 노인에게는 사랑하고 감사하며 즐겁게 살아야 하는 것이야 말로 소홀(疏忽)히 ..

인생과 삶 2023.01.29 (380)

배려의 힘

[배려(配慮)의 힘] 배려(配慮)란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로 마음을 써서 보살피고 도와줌 또는 관심(關心)을 가지고 도와주거나 마음을 써서 보살펴 주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배려와 양보(讓步)는 손해(損害)라는 인식을 하고 내가 잘되고 편하기 위해서는 남의 손해는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는 것이 요즘의 세태(世態)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타인(他人)의 행동(行動)과 대화(對話)를 받아들이기보다 자신의 손익(損益)과 비교(比較)해 계산하며 먼저 의심(疑心)하는 세상은 너무나 삭막합니다. 누군가가 비관(悲觀)해서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그 원인(原因)과 시스템에 대한 비판(批判)보다 경쟁(競爭)에서 뒤처진 사람, 패배자, 못난 사람이라고 치부합니다. 그저 돈이 많은 게 그 사람의 인격(人格)이 되고 좋은 사람이..

인생과 삶 2022.11.29 (378)

노년의 건강과 장수와 행복

노년(老年)의 건강(健康)과 장수(長壽)와 행복(幸福) 일반적(一般的)인 사람의 희망사항(希望事項)을 모아 놓으라면 건강(健康)과 장수(長壽) 그리고 행복(幸福)으로 집약(集約)할 수 있습니다. 세단어가 모두 연관(聯關)이 있고 따로 생각하면 그 의미(意味)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사람은 가능한(可能)한 건강하게 장수해야 하고 행복하게 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행복과 건강과 장수가 없는 인간(人間)의 삶은 실패(失敗)한 인간의 표본(標本)입니다. 건강과 장수와 행복은 쉽게 얻어 지지 않는 소중(所重)한 인간의 목표(目標)며 희망(希望)입니다. 모든 결과(結果)는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원칙(原則)이 철저(徹底)히 적용(適用)되는 피(避)할 수 없는 진리(眞理)입니다. 건강이나 장수와 행복을 원(願)한다면..

인생과 삶 2022.11.17 (413)

노인의 덕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생(人生)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변화(變化)가 많아 예측(豫測)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지요. 복(福)이 화(禍)가 되고 화가 복이 되는 등, 변화는 끝이 없고 그 깊이는 예측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인생은 새옹지마이니 실패(失敗)하면 다시 일어서면 됩니다. 한 어부(漁夫)가 살고 있었습니다. 어부에게는 아내와 두 명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自身)을 이어 두 아들 모두 어부가 되길 바랐습니다. 어느 날 어부는 화창(和暢)한 날씨에 두 아들을 데리고 바다에 나갔습니다. 아내가 정성(精誠)껏 싸준 도시락까지 챙겨 기분 좋게 조업(操業)을 시작(始作)했는데, 오후(午後)가 되자 맑았던 날씨가 음산(陰散)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더니 이내 바람..

인생과 삶 2022.11.08 (254)

노년의 삶은 덤인가

[노년의 삶은 덤인가?] 생물학자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수명을 120세 전후로 생각하고 있다. 60세가 넘으면 덤의 수명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것은 오랜 동안 인간이 60세 넘게 사는 사람이 흔치 않았기에, 60세를 환갑(還甲)이란 이름으로 잔치를 베풀어 장수를 축하한 것으로 보아 60세 이후의 삶은 덤으로 생각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현재의 한국인 평균연령이 78세에 이른 것으로 보아 유사 이래 덤으로 사는 시간이 길어지기는 처음이다. 앞으로는 더욱 오래 살 것이라고 하니 덤으로 사는 시간이 더욱 많아 질것으로 예상 된다. 다른 시각으로 보면 지금의 장수 시대는 덤이 아니고 그동안 누리지 못한 인간에게 주어진 축복의 시간을 찾는 것이라 보는 것이 옳은 생각이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정상적인 수명을 감..

인생과 삶 2022.10.27 (351)

노년도 오직 한번 뿐이다.

[노년(老年)도 오직 한 번뿐이다] 살아갈 날이 살아온 날보다 짧은 노년은 지금에 주어진 시간과 기회가 더욱 소중하고 귀하게 생각하게 된다. 삶을 마치는 순간까지 모든 노인은 행복하고 슬기롭게 잘 살아야 할 의무가 있다. 노인이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 늙음을 인정하고 노년기를 축복과 은혜로 받아드리고 감사하며 즐겁고 건강하게 생활하는 것이다. 노년만이 누릴 수 있는 한가와 여유를 슬기롭게 활용하는 것이다. 성실한 노인으로 살아서 진정한 삶의 즐거움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다시 맛볼 수 없는 축복의 소중한 시간들에 감사하며 보람 있고 만족하게 살아야 한다. 소박한 즐거움과 아름다운 심성을 가지고 즐길 수 있는 최후의 기회를 노인의 몫으로 꼭 챙기며 일과 소유에서 더 자유로울 수 있는 간결한 생활을 즐기..

인생과 삶 2022.10.14 (341)